1. 경기 침체란?
경기 침체는 경제 활동이 정점에서 저점으로 하락하는 시기를 의미하며, 고용 감소, 투자 위축, 소비 둔화 등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경기 침체는 경제 전반에 걸친 불확실성과 위험을 증가시키며, 기업 수익 악화, 실업률 상승 등의 결과를 초래합니다.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미국 경제의 경기 순환을 분석하여 공식적으로 경기의 정점(peak)과 저점(trough)을 발표합니다. NBER에서 경기 침체기를 정의하는 기준은 실질 경제 활동의 지속적인 감소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기 침체의 공식적인 시작과 끝은 실업률, 소비, 투자 등 다양한 경제 지표의 변화 추이를 반영한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BER의 자료를 바탕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경기 침체 사례를 살펴보고, 각 침체의 주요 원인과 그로 인한 경제적 여파를 분석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경기 침체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향후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NBER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NBER의 경기 순환 사이클 : 경기 침체기와 확장기 분석하기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중요한 역량입니다. 특히 미국 경제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있어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BER)가 발표하는 경기 순환 사이클은 필수
freedomwings.tistory.com
2. NBER의 최근 경기 순환 발표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미국 경제의 경기 순환을 분석하고, 공식적으로 경기의 정점(peak)과 저점(trough)을 발표합니다. 최근 발표에 따르면, 가장 최근의 경기 정점은 2020년 2월, 저점은 2020년 4월이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활동의 둔화를 반영한 것입니다.
아래는 NBER의 2000년대 주요 발표 내용입니다.
• 2021년 7월 19일: 2020년 4월을 경제 저점으로 발표
• 2020년 6월 8일: 2020년 2월을 경제 정점으로 발표
• 2010년 9월 20일: 2009년 6월을 경기 침체 종료 시점으로 발표
• 2008년 12월 1일: 2007년 12월을 경기 침체 시작 시점으로 발표
자세한 발표 내용은 NBER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usiness Cycle Dating Committee Announcements
www.nber.org
3. NBER 역대 침체구간 상세 분석
(1) 1990-1991년 경기 침체 (Early 1990s Recession)
• 기간 : 1990년 8월~1991년 3월(8개월)
• 요인 : 석유 가격 급등, 미국 부동산 시장 붕괴, 걸프전 등의 요인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기업들이 도산했으나, 비교적 빠르게 경제 회복이 이루어졌습니다.
(2) 닷컴 버블 붕괴 (Dot-com Bubble Burst)
• 기간 : 2001년 4월~2001년 11월(8개월)
• 요인 : 1990년대 말 인터넷 관련 주식에 대한 과열 투자가 이루어졌고,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후 주식 시장에 큰 타격이 발생했습니다. 짧은 경기 침체가 뒤따랐지만,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와 금융 정책 덕분에 미국 경제는 빠르게 회복되었습니다.
(3) 글로벌 금융위기 (Global Financial Crisis)
• 기간 : 2008년 1월~2009년 6월(18개월)
• 요인 : 2007년 미국에서 시작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전 세계 금융 시스템에 충격을 주었고, 리먼 브라더스 파산과 대규모 금융기관 붕괴가 이어졌습니다. 실업률이 급등하고 소비가 위축되며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졌습니다. 대규모 구제 금융과 정부 개입을 통해 장기적인 회복이 이루어졌습니다.
(4) 코로나19 팬데믹 경기 침체 (COVID-19 Recession) :
• 기간 : 2020년 3월~2020년 4월(2개월)
• 요인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 경제 활동이 봉쇄 조치에 따라 급격히 둔화되었습니다. 실업률이 급상승하고 기업 활동이 중단되었지만, 각국 정부의 재정 정책과 중앙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 덕분에 빠른 경제 회복이 이루어졌습니다.
4. NBER이 공식 발표하지 않은 최근 침체는 언제일까?
NBER에서 아직 2022년을 경기 침체로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경제 지표와 상황을 종합해볼 때 2022년이 경기 침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여 개인적인 의견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팬데믹 이후의 경제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그 주요 원인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근본적 원인
• 재정정책과 양적완화: 팬데믹 이후 각국 정부는 경제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양적완화를 시행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경제 성장에 기여했지만,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해 자산 시장에 버블이 발생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졌습니다.
•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소비가 빠르게 증가했지만, 공급망의 회복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생산 설비와 인력 부족 문제로 인해 공급난이 발생했고,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부가적 원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22년 2월 시작된 전쟁은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의 폭등을 초래했습니다. 특히 유럽 국가들은 에너지 의존도가 높아 경제적 타격을 크게 받았고, 이는 글로벌 물가 상승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 이상기후: 인도의 폭염으로 인해 밀 생산량이 급감하며 국제 밀 가격이 급등했고, 이는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습니다.
마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경기 침체는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우리는 경제 사이클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 전략을 세우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경기 침체와 같은 경제적 변동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재테크 실천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경제 공부와 재테크 전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자유를 위한 재테크연구소와 함께 꾸준히 재테크를 공부해 나가면서 그 지식을 통해 모두가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ML 어닝 쇼크, 세계 반도체 시총 572조원 증발 (6) | 2024.10.16 |
---|---|
한국은행,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 0.25% 인하 – 경제적 의미는? (0) | 2024.10.11 |